개인 112

[리눅스] 사용자 계정 관리 usermod 명령어

사용자 계정 관리 리눅스에서는 useradd 명령으로 새로운 계정을 생성한 뒤 passwd 명령으로 비밀번호를 부여해서 사용한다.. 생성된 계정에는 UID (user identity) 와 GID (group identity) 번호가 자동으로 부여되어 구분할 수 있다. UID 번호가 0번은 root(관리자)계정이 있으며 일반사용자의 계정을 생성할 때 /etc/login.defs 파일에 설정된 값에 따라 UID와 GID 및 파일생성시 자동으로 설정되는 기본 허가권 UMASK 값 등이 주어진다. 사용자의 계정에 관련된 명령어 중에서 useradd와 passwd, userdel 등의 명령어는 대부분 널리 알려져 자주 사용되지만 계정을 관리하는 usermod 명령어는 사용할 줄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이번..

개인/리눅스 2020.02.06

[리눅스] 하드디스크 추가 및 파일시스템 마운트

새로운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윈도우에서는 하드디스크같은 보조기억장치를 연결할 때 용량에 따라 파티션 및 포맷여부 등을 설정해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리눅스에서도 마찬가지다. 리눅스에서 새로운 하드디스크를 추가하기 위해서는 장치에 파일시스템을 설치한 뒤 특정 디렉토리에서 마운트해서 사용해야한다. 또한 재시작할 때 마다 해당 장치를 자동으로 읽어오기 위해 별도의 설정이 필요하다. 이번에는 컴퓨터에서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하드디스크를 리눅스에 추가해서 사용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VMware 에서 CentOS 6 버전을 사용한다.)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는 방법 ① 하드디스크 인식 확인 ② 파티션 분할 및 생성 ③ 장치에 파일시스템 생성 ④ 장치와 마운트할 디렉터리 생성 및 마운트 VMwar..

개인/리눅스 2020.02.05

[리눅스] 파일의 특수권한과 링크(하드,심볼릭)

리눅스에서 파일에 대한권한 (소유권과 허가권) 리눅스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운영체제이다. 즉 여러 사용자가 같은 저장공간을 공유하고 내가 만든 디렉터리나 파일을 다른 사용자가 볼 수 있다. 이는 내가만든 파일을 다른사용자가 삭제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자기가 만든 파일을 지키기 위해서는 파일에 대한 소유권과 허가권을 이용해야 한다. 허가권은 다른사람이 내 파일을 읽고, 쓰고, 실행하는데에 있어 별도의 권한을 따로 부여해주는 것이다. 다른사용자는 설정된 허가권에 따라 실행할 수는 있지만 읽을 수는 없거나, 수정할 수는 있지만 실행할 수는 없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소유권은 말그대로 파일의 소유자를 말하며, 파일의 소유권을 가진 사용자가 허가권을 설정해서 다른사용자가 ..

개인/리눅스 2020.02.04

[리눅스] 네트워크 주소설정 관련 명령어

리눅스의 네트워크 설정 리눅스를 설치하고나서 관련 네트워크 설정을 확인하거나 변경하는데에 사용하는 명령어에는 ifconfig, netstat 등 여러가지가 있다. 사용자에게 설정된 IP주소나 게이트웨이 및 도메인에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면 네트워크에서 구조를 이해한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이번에는 네트워크 설정 관련 내용이 저장되는 파일이나 확인방법 및 변경방법 등을 알아보려고 한다. 네트워크 관련 파일 리눅스에서 네트워크정보나 일반 유틸리티 등으로 IP주소를 설정할 경우 관련정보가 저장되는 파일이 별도로 존재하며 이는 vi편집기를 통해 변경할 수 있다. 이 파일들은 부팅시에 읽어들이는 파일로, 설정값을 지속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파일들을 수정하는것이 좋다. 네트워크 설정관..

개인/리눅스 2020.02.03

IP주소와 서브넷마스크를 이용한 서브넷팅하는 방법

IP주소란? IP는 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다른기종의 컴퓨터들이 서로 인식하고 통신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각 컴퓨터마다 고유한 값을 제공해서 각각의 호스트(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한다. IP주소는 NIC (랜카드)에서 할당하는 주소이기 때문에 한 컴퓨터에 여러개의 NIC를 사용하는 경우, 여러 IP주소를 사용할 수 있다. IPv4 주소란? ▶ 32비트의 이진숫자로 구성 ▶ 8비트씩 4부분으로 나누어 십진수로 표현 ▶ 십진수는 0~255 사이의 값을 가지게 된다. (0.0.0.0 ~ 255.255.255.255) IPv4는 이진숫자로 구성되어 32비트를 4개로 쪼개서 십진수로 표현한다. 전체 사용할 수 있는 IP개수는 42억개로 한정되어있고 네 개로 나눠진 이진숫자는 각..

개인/리눅스 2020.02.02

프로토콜의 기능과 TCP/IP 구조

프로토콜은 무엇일까? 컴퓨터들은 상호간에 통신을 하기 위해서 미리 정해놓은 규칙이 있다. 서로 무작위로 통신하기 된다면 데이터를 서로 전달하면서 손실이 발생하거나 제대로 전달받더라도 읽어들이지 못하는 등 여러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컴퓨터 상호간의 데이터를 원활하게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정해놓은 규칙을 통신규약이라고 한다. 통신규약에는 접속방식이나 데이터의 전달방식 및 자료의 형식과 전송속도 등을 포함한다. 프로토콜의 구성요소 ▶ 구문 : 데이터의 구조나 형식 ▶ 의미 : 전송의 조작이나 오류제어 등 제어정보 ▶ 순서 : 메시지의 통신속도나 순서제어 통신 프로토콜에서 기본적인 구성은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구문에서는 데이터의 구성이 어떻게 되어있는지와 코딩방법이나 신호레벨 등 데이터 자체의 형식을 ..

개인/리눅스 2020.02.01

[리눅스] 프로세스의 종류와 데몬

프로세스란? 리눅스에서는 한 번에 여러 개의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은 어떤 작업을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의 집합으로 보통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됩니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메모리(RAM)와 같은 주기억장치로 옮겨오면서 CPU의 자원을 할당받아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프로세스"라고 합니다. 프로세스에는 PID가 할당되어 관리됩니다. 실행중인 프로그램 PCB (Process Control Block)를 지닌 프로그램 프로그램 카운터를 가진 프로그램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방법 리눅스에서는 부팅을 시작하면 init프로세스라는 최초의 프로세스를 기준으로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여러 프로세스가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이때 가장 처음 커널이 실행하는 init 프로..

개인/리눅스 2020.01.31

OSI 7계층 각 계층의 특징과 역할

OSI 7 계층 모델 OSI 모형은 국제표준화기구인 ISO에서 개발한 것으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7 계층으로 나누어 정의했다. 이 모델은 각 프로토콜을 기능별로 구분하기 쉽게 나눈 것이다. 각 계층은 서로 독립적이며 하위계층의 기능만을 이용할 수 있다. 상위계층으로는 기능을 제공하며 최하위 계층인 물리계층부터 최상위에는 응용계층으로 구성된다. 통신 / 전달 기능 ▶ 통신 기능 : 응용, 표현, 세션 (상위 3 계층) ▶ 전달 기능 : 전송, 네트워크, 데이터링크, 물리 (하위 4 계층) OSI 7 계층은 크게 통신과 전달 기능으로 나뉜다. 통신 기능을 주로 하는 상위 3 계층에서는 응용프로그램과의 통신관리와 동기화 서비스를 유지하는 기능, 데이터의 번역을 통해 일관되는 데이터 전송 ..

개인/리눅스 2020.01.31

[리눅스] 기본 간단 쉘프로그래밍 작성 및 실행방법

쉘 (shell) 프로그래밍이란? 쉘에서 여러 개의 동일한 명령을 반복적으로 실행해야 하는 경우, 매번 같은 명령을 치는 번거로운 막일 작업의 경우 한두 번은 괜찮지만 반복적으로 매일 같은 작업을 하는 경우 시간적으로도, 일적으로도 너무 비효율적입니다. 따라서, 하나의 파일을 만들어 그 안에 반복되는 여러 명령어를 적어놓은 뒤 파일을 실행했을 때 명령어들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만드는 과정을 우리는 "쉘 프로그래밍"이라고 합니다. 또한 이런 파일이나 프로그램을 주로 "스크립트"라고 부릅니다. 간단한 쉘 프로그래밍 작성방법 쉘 프로그래밍을 위해 파일을 생성할 경우 어떤 언어로 작성할지에 따라 파일의 확장자나 내용의 형식이 바뀌기도 합니다. 그중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bash쉘을 이용해서 간단한 프로그램을..

개인/리눅스 2020.01.29

[코미디영화] 히트맨 상영 후기 (약스포)

설 연휴가 끝나가고 시간이 남아 설 연휴가 짧은 것도 있지만 개인적인 사정으로 인해 어디 가기도 뭐하고 시간을 보내다 오랜만에 혼영 하러 나가게 되었습니다. 설 연휴에 맞춰 개봉한 영화로 히트맨, 남산의 부장들, 해치지 않아 등 볼만한 게 많았는데요. 원래는 남산의 부장들을 볼 생각이었지만 포스트의 이미지와 제가 좋아하는 코미디/액션이라는 장르에 끌려 결국 히트맨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영화 히트맨 저는 보고 싶은 영화를 고를 때 감독이나 평점보다 주연배우를 주로 보는데요 평점은 사람마다 갈릴 수도 있고 만약 좋아하는 배우가 나온다면 영화가 별로 재미없거나 저랑 안 맞더라도 돈이 아깝지 않더라고요. 히트맨도 마찬가지로 늦깎이 배우 허성태와 권상우 또 에서 아역을 맡았던 이지원 등 내용보다는 좋아하는 배우..

개인/잡담 방 2020.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