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05

[별자리, 점성학] 사는데 있어 중요한 것들

별자리를 알아가면서 단순히 재미를 목적으로 별자리를 공부하기 시작했다. 별은 무한히 반복되는 시간들 속에서 어떤 수많은 일들이 벌어졌는지를 기록하며 나에게 여러가지 가설을 세우며 나와 소통할 수 있도록 돕는 매개체로 만들기 위해 공부하고 있다. 하지만 알아보면 알아볼수록 나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하게 된다. 내가 좋아하는 것은 뭘까, 내 가치관은 뭘까, 나는 왜 이걸 하고 있는 걸까 무엇을 두려워하는걸까, 내가 번번히 실패하거나 얻는 것 없이 의미없는 시간이 흘러가게 되는 이유가 뭘까 번번히 생각해보게 되었다. 이후에는 점점 별자리가 아닌 나를 알고싶다는 욕망에서 시작되어 내가 가진 고민이 무엇인지, 나의 목적이 무엇인지 고민하게 되었다. 이후 찾아낸 몇가지 이야기가 있다. 알아보면서 느낀 것들, 나에게서..

[별자리] 점성학이란, 나 자신과 대화의 도구

점성학 이름의 뜻은 별자리를 다루는 학문이라고 알려진 점성학은 나 자신과 대화할 수 있는 도구중의 하나이다. # 점성학에서의 '점'이란 점은 나의 삶이 외부환경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관점이다. 어떤 사건이 벌어졌을 때 그 원인을 외부에서 찾으며, 나에게 벌어진 일은 외부 환경에 의해 생긴 일이라는 사고방식을 말한다. 돈 때문에, 다른사람 떄문에, 가족이나 사랑 때문에 등등 외부에서 원인을 알아내려는 사고방식을 '점'의 관점이라고 한다. 따라서 외부 환경의 공격을 미리 판단하고 대처하기 위한 방법이기도 하다. # 점성학에서의 '학'이란 나에게 벌어진 사건에 대한 원인을 외부 환경이 아닌, 나 자신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것이다. 즉, 내가 외부 환경을 바꿀 수 있고, 조정할 수 있으며 모든 원인이 나한테 있다고..

[리눅스] VNC란? 사용목적과 설치

원격 지원, 원격 제어 구분하기 흔히 원격이라고 하면 네트워크 대역에서 물리적인 거리상 멀리 떨어진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을 말한다. 원격접속은 컴퓨터의 제어, 서버의 시스템 이용 등 여러 목적을 가지고 있는데 목적에 따라 사용하는 원격 프로그램이 나뉘게 된다. 1. 원격 제어 (원격 데스크톱) 다른 컴퓨터의 IP주소를 이용해 원격으로 접속 후 허용된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일 대 일 접속만 가능하며 컴퓨터와 원격지의 화면이 서로 다르게 표시된다. 여러 사용자가 특정 서버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한다. 동시 접속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필요한 사용자만 원격으로 로그인한 뒤 작업을 진행하고, 불필요한 경우 로그아웃해서 여러 사용자가 번갈아..

개인/리눅스 2020.02.29

[리눅스] DNS 서버의 구성과 설치방법

DNS (Domain Name System) 란? 인터넷에서는 IP주소를 이용해 여러 호스트를 식별하게 된다. 하지만 숫자로 이루어진 IP주소는 특정 컴퓨터를 찾는데에 있어 어려움이 생길 수 있으며 인터넷 사이트 수가 늘어남에 따라 IP번호를 외워서 접속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힘들다. DNS는 이런 IP주소를 쉽게 구분하기 위해 도메인 이름을 부여해서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특정 컴퓨터에 접속하려는 사람들이 알아보기 쉬운 숫자와 문자를 이용해 구성하면서 의미를 부여해 도메인 이름을 만든다. 이후 사람들은 컴퓨터의 IP주소가 아닌 도메인 이름으로 접속할 수 있게 된다. IP주소 기반인 인터넷 체계를 도메인명 기반으로 사용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구성해야 하는 DNS 서버는 도메인명을 관리하고 클라이언트에서 도메..

개인/리눅스 2020.02.28

[리눅스] 메일이란? 관련 프로토콜

메일이란? 메일이란? 메일은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해 사용자 간의 편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특히 인터넷을 통해 편지를 주고받은 것을 전자우편 혹은 이메일이라고 불린다. 메일 서버와 클라이언트 메일 서버 - 메일을 보관하는 응용프로그램 - 메일 송/수신을 위한 프로그램만을 운영하는 하드웨어 메일 서버는 크게 두 가지 의미로 구분되는데, MTA 라고도 불리는 메일서버는 다른 사용자가 보낸 메일을 받거나, 다른 서버로 메일을 전달하는 등 메일을 전달하거나 보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말한다. 또한 이런 메일을 사용하기 위한 프로그램만을 설치해서 메일 서버로만 운영되는 컴퓨터 하드웨어를 메일 서버라고 부르기도 한다. ex) sendmail, qmail, postfix ... ..

개인/리눅스 2020.02.25

[리눅스] 삼바의 기본상식과 설치 및 설정확인

여러 시스템의 파일 공유 프로그램 "삼바" 마이크로소프트와 인텔에서 개발한 SMB를 이용해 윈도우와 유닉스계열의 운영체제나 다른 시스템 간의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만든 프로그램이다. 삼바는 윈도우 계열의 운영체제와 유닉스계열의 리눅스, 매킨토시 등 다양한 운영체제가 존재할 때 통합적으로 파일이나 자원을 관리하며 공유하기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다. 즉, 서로 다른 OS간의 파일과 printer 자원을 공유하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GNU 라이선스가 부여된 삼바는 자유 소프트웨어이며 무료로 베포되어 누구나 사용할 수 있고 SMB / CIFS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작동하기 때문에 해당 프로토콜이 설치된 시스템만 사용할 수 있다. CIFS는 IETF에 의해 인터넷 표준으로 제안되었고, TCP/IP를 사용해 Ne..

개인/리눅스 2020.02.24

[리눅스] 다수의 서버에 대한 인증 프로그램 NIS

NIS가 만들어진 이유 리눅스같은 유닉스계열의 운영체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해 인증을 거쳐야 한다. 하나의 서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런 인증절차가 문제되지는 않지만, 서버의 개수가 수십대가 넘어가는 경우 사용자가 각 서버별로 아이디나 패스워드가 등록되어야 하는데 이는 다소 번거로운 부분도 있지만 사용자가 개인정보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 여러 서버에 있는 개인정보를 모두 바꿔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 기반의 인증서비스가 여럿 등장했다. 네트워크 기반의 인증서비스는 하나의 서버에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뒤 나머지 서버에게 제공해주는 서비스이며 관련 프로그램으로는 NIS, LDAP 등이 있다. NIS(Network Informa..

개인/리눅스 2020.02.23

아파치 웹 서버의 기본 상식

웹 서버는 웹 서버는 우리가 인터넷에서 흔히 사용하는 웹 페이지가 들어있는 파일을 사용자에게 제공해주는 서버 프로그램으로, 시스템 소프트웨어라 불린다. 인터넷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여러 페이지를 사용 하는데, 특정 페이지를 클릭할 경우 웹 서버로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해 페이지를 요청한다. 웹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HTML문서로 된 페이지를 웹 브라우저로 전달한다. 즉, 웹 서버의 주된 역할은 사용자가 요청한 페이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클라이언트가 되며, 웹서버로부터 HTML 문서를 받아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중간자 역할을 수행한다. 웹 서버에는 아파치 웹서버, NginX, IIS 등 여러 종류가 있지만 여기서는 그 중 가장 인기있는 Apache 웹 서버에 대해 알아보..

개인/리눅스 2020.02.22

[리눅스] 웹 서비스의 구성 (웹 브라우저, HTTP)

웹이란? 웹은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을 간단히 부르는 말로서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들을 통해 문서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정보공간이자 서비스를 뜻한다. 즉, 웹은 www의 줄임말로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공유할수 있는 공간을 말한다. www는 인터넷상에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하며, 하이퍼텍스트방식을 사용한다. 하이퍼텍스트 (Hypertext) .하이퍼텍스트는 하이퍼링크를 통해 이용자가 사용중인 문서에서 다른 문서로 즉시 접근할 수 있는 텍스트를 말한다. 예를들자면 어느 홈페이지에서 기사를 하나 클릭하면 새로운 창이 나온다. 이는 웹 브라우저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탐색하며, HTML이라는 태그를 이용해서 만들어진다. HTML은 HTTP라는 프로토콜을 통해..

개인/리눅스 2020.02.19

[리눅스] 백업명령의 사용 (tar,cpio,rsync)

백업이란 컴퓨터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작업은 여러 기록과 데이터로 저장되어 관리한다. 이런 데이터들이 작업하는 도중 갑작스럽게 진행하던 프로젝트에 관련된 데이터들이 하드웨어의 문제나 바이러스 등으로 인해 사용하지 못하게 되면 작업이 지연되거나 서비스가 중지되는 등 여러 문제가 생길수 있는다. 시스템을 관리하는 사람이 최우선적으로 해야하는 일중에 하나는 중요 데이터를 보호하는 것이다. 이런 자료를 보호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백업(backup)이 있다. 백업은 자료를 보호하는 방법으로 데이터를 잃어버리거나,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를 대비해서 사전에 중요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다른 위치에 복사본을 만들어 두는 것이다. 아무리 시스템을 깔끔하게 관리한다고 하더라도 미숙한 작업자의 실수나, 소프트웨어 문제, 도난..

개인/리눅스 2020.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