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05

운영체제(OS) 의 종류와 특징

OS (Operation System) = 운영체제란? 운영체제는 사용자와 하드웨어 사이에 매개체가 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로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운영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사이에 다리 역할이 되는 커널을 의미하기도 하며 넓게는 미들웨어, 실행환경,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 포괄적으로 정의되기도 합니다. 가장 기본적인 목적으로는 시스템을 편리하게 이용하는 것과 CPU나 주기억장치 / 보조기억장치 / 입출력 장치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합니다. 초기의 컴퓨터는 전문성을 가진 사람들만 대부분 이용했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지 않았지만 이후 컴퓨터가 대중화되면서 운영체제는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변화되며 GUI 기반의 윈도우가 탄생했습니다. (GUI : 그래..

개인/리눅스 2020.01.20

LTE통신망 구조 (EPS / EPC / E-UTRAN)

LTE 이동통신망 LTE (Long-Term Evolution)는 유럽 중심의 이동통신 표준화 단체인 3GPP에서 4G 이동통신 기술로 공식적으로 승인받은 4세대 이동통신 입니다. 3세대 (3G) 이동통신보다 데이터 전송 효율, 지연시간, 서비스 품질 등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2011년 상용화가 시작되었고 2013년 하반기부터는 3개의 이동통신사가 모두 전국에 LTE 서비스되었는데요 5G가 상용화되기 시작한 2019년 전까지 약 7년간 우리나라에서 이동통신망으로 사용되었고 아직 쓰이고 있는 LTE 기술에 대해 간단한 구조와 용어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UE : 사용자의 단말기 eNodeB(eNB) : LTE에서의 기지국 E-UTRAN : 무선 접속망 EPC : 유선 핵심망 MME : 이동..

개인/LTE, 5G 2020.01.19

청년저축계좌 신청조건 (저소득층 / 차상위계층)

2020년 4월에 시행되는 청년 저축계좌 정부에서 청년에게 지원되는 실업급여, 내일 채움 공채 등의 사업으로 주변에서도 도움을 받고 있는 친구들이 많아서 혹시나 저도 해당사항이 있는 게 아닐까 싶어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일단 청년 저축계좌는 저소득층 청년의 자립을 목표로 지원해주는 사업으로 차상위계층의 청년이 기초생활수급자로 내려가는 것을 예방하고 빈곤의 대물림을 방지하기 위해 시행되었습니다. (차상위계층 : 기초생활수급자 바로 위 계층으로, 자산은 없지만 의식주 생활이 곤란한 수준은 아니다.) 현재 차상위계층의 청년들에게 지원되는 자산형성사업이 없다는 점을 고려해서 저소득 청년의 자산을 지원해주는 사업입니다. 자격요건 정규직 신규 취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청년 내일 채움 공채와 달리 청년 저축계좌는 근소..

기타 정보 2020.01.18

더블액션 프리바이오틱스 한달섭취 후기

프리바이오틱스란 평소 유전적으로 장이 안 좋기도 하지만 잦은 야간근무로 인해 식습관이 꼬여버려 장염에도 몇 번 걸린 적도 있었던 저는 장에 좋다는 음식과 비타민 등 이것저것 챙겨 먹고 다녔었는데요 이후 찾다가 프리바이오틱스라는걸 알게 되었습니다. 프리바이오틱스는 장내의 유익균을 지칭하는 프로바이오틱스의 먹이인데요 유익균 프로바이오틱스는 대표적으로 유산균이 있습니다. 유산균은 젖산을 분비해 다른 세균을 죽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유익균의 먹이인 프리바이오틱스는 유산균의 활동을 활발하게 해 주고 장 내의 환경개선과 배변활동을 도와준다고 하는데요 주위에서 다들 좋다고 하길래 얼떨결에 저도 먹어보게 되었습니다. 더블액션 프리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 제품에도 여러 가지가 있어서 막연히 고르기가 힘들었습니다. 그중..

개인/잡담 방 2020.01.17

[대구 중고책 판매 후기] 알라딘 중고서점

중고책 판매 저는 책을 많이 읽는 편은 아니지만 한 달에 한 3~4권 정도 읽다 보니 어느새 책들이 한가득 쌓여있었습니다. 저는 보통 소설책의 경우에는 한번 읽고 다시 꺼내보는 경우가 없으니 그대로 쌓여 짐이 되서 처치곤란한 경우가 있었는데요. 친구가 제 방에 쌓여있는 책들을 보더니 괜히 오래 뒀다가 망가지기 전에 중고매장에 팔아버리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한번 알아보다 알라딘 중고서점에 중고책을 구매하는 공간이 따로 마련되어 있다고 합니다. 새로 나온 책이나 베스트셀러 같은 경우 책 상태가 좋다면 반값에 매입되는 책들도 있다고 하니 늦기 전에 얼른 팔아버리기로 했습니다. 과연 판매가 되는 책인가? 알라딘에서 모든 중고책을 매입하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물량이나 품질에 따라 매입하지 않는 책도 있는데요...

개인/일상 방 2020.01.16

리눅스마스터 1급 1차(필기) 시험 준비

리마 1급을 취득하려는 이유 제가 리마2급을 취득한 지도 벌써 반년이 다 되어갑니다. 그저 없는것 보단 낫겠지 라는 심정으로 취득했었는데 취업하고 나서 다시 1급을 공부하게 될 줄은 몰랐는데.. 모든 자격증이나 기술은 연봉에 영향이 있습니다. 마침 서버관련 일을 하고 있기도 하고 조금이라도 더 좋은 자격증을 미리 취득해 두는 것이 후에 연봉협상에 도움이 될 것 같아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리마 1급 시험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또 시험일정과 과목 및 준비기간이 얼마나 걸릴지 등 간략하게 알아보려고 합니다. 시험일정 올해 총 2번의 시험이 있습니다. (2001회 / 2002회) 마침 3월 중순에 바로 2001회 시험이 있고, 한 번 떨어진다면 무려 반년을 기다려야하니 두 달 동안 꼼꼼히 준비해야겠어요 1..

개인/리눅스 2020.01.15

이동통신 CDMA / WCDMA 방식

주파수를 이용하는 방식 이동통신에서 사용자의 단말기는 주파수를 이용해 기지국과 통신하며 전화나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데요 이 주파수를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여러가지가 있으며 그중 2세대 (2G)와 3세대(3G)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던 CDMA와 WCDMA방식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CDMA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분할 다중접속 초기에는 군통신에서 전파장해나 도청방지를 위해 사용했던 기술을 미국의 퀄컴이라는 회사에서 이동통신에 응용하면서 탄생했으며 말그대로 코드를 이용한 다중접속 기술중 하나로 국내에서는 1996년에 한국이동통신에서 최초로 CDMA를 기반으로 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상용화했습니다. 그럼 CDMA란 무엇일까? 우리는 사용자들의 단말..

개인/LTE, 5G 2020.01.14

[리눅스] 사용자계정 명령어와 파일

리눅스에서 사용자를 구분하는 방법은 리눅스에서는 사용자를 root(관리자)와 일반사용자로 구분한다. 각각 계정은 흔히 사용하는 ID가 아니라 번호로 부여하는 UID(User Identity)로 관리한다. UID가 0번인 사용자는 슈퍼유저로 인식해서 관리자계정이 된다. root (Super User)계정은 UID값이 0으로 지정된 관리자계정이다. 여기서는 다른 계정을 생성하거나 권한을 부여하고 비밀번호를 바꿀 수 있다. 즉 모든 권한을 가진 계정이다. 만약 다른계정에 UID값을 0으로 변경한다면 관리자와 마찬가지로 모든 권한을 가질 수 있다. Normal user라고 불리는 일반사용자는 관리자에게 권한을 부여받아 사용한다. 리눅스에서 파일을 생성 시 소유주의 권한을 가지는데 만약 일반유저라면 root 권한..

개인/리눅스 2020.01.13

[리눅스] LVM 과 RAID 개념

리눅스에서의 하드디스크 리눅스에서는 디스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하는 방법으로 LVM과 RAID 기술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디스크의 파티션을 보다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며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읽고 쓸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이 글에서는 두 가지 기술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려고 합니다. 개인적인 공부를 위해 작성하는 글이기 때문에 지적이나 추가 설명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LVM (Logical Volume Manager)을 사용하는 이유 리눅스 안에서 하나의 디스크를 여러 파티션으로 분할해서 파일 시스템을 사용해 특정 디렉터리와 연결시켜 사용하게 됩니다. 이때 하드디스크를 파티션으로 나눌 경우 물리적인 개념이 강해서 고정적인 용량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개인/리눅스 2020.01.12

LTE 기지국의 주요 장비

우리가 사용하는 와이파이 인터넷이나 전화는 어떻게 사용되는 걸까 누군가에게 전화를 한다면 그 신호가 어떻게 전달되서 통화가 이루어지는걸까 이동통신을 알려면 먼저 기지국과 단말기를 알아야한다. 기본 용어와 장비 EnodeB(Evolved Node B) : LTE에서 사용하는 기지국을 부르는 말이다. RU (Radio Unit) : RF (무선 고주파)신호를 처리하는 장치이다. DU (Digital Unit) :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로 BBU (Baseband Unit)이라고도 한다. 중계기 : 신호를 받아 증폭,복원시켜주는 장비이다. UE : 사용자의 단말기를 부르는 용어이다. 커버리지 : 기지국이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범위를 말한다. 기지국 네트워크와 단말기를 연결하는 통신장비이다. CDM..

개인/LTE, 5G 2020.01.11